13) 양돈가를 패쇄 하여야 하나? 의견 엇갈려 dohyup12 2019-08-26 08:53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최종적으로는 이 시설의 매입도 검토하고 있다. 바로 매입하는 것은 아니고 악취 저감시설 등을 추가로 설치할 의사가 있는지도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도에서 악취저감시설 지원하는 보조사업이 있다. 지금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해서라도 악취를 잡는 것이 우선”이라며 “양돈업자들의 이전 또는 패쇄 조치를 바라고 신청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양돈업자들도 축사 패쇄나 이전계획이 있는가를 물어보면 자기들도 스트레스가 많다며 사겠다고 하면 팔 의사는 있다고 했다. 그래서 우리(시)는 이전이나 패쇄시 보상차원에서 감정평가에 의해서 가격을 줄 수밖에 없으니 감정평가기관은 직접 선택하더라도 그 가격에 결정할 수는 있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일부 주민들은 “용인시가 시설을 패쇄해서라도 악취 안 나게 해달라”고 민원을 제기하지만 그들의 생계수단을 하라, 하지말라고 제약을 할수 없다는 점이고 또 다른 주민들은 “왜 혈세를 들여 그런 시설에 보조를 해주거나 저감시설을 해주는 일에 세금을 사용하는지 의문이라며. 운영하는 사람이 투자를 하던 직접 폐쇄를 하던지 해서 해결해야 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용인시가 이 시설을 매입하여 폐쇄하면 좋지 않은 선례를 남긴다는 지적도 있다. 이 시설을 매입해 폐쇄하면, 용인시관내 다른 지역 주민들의 의견도 들어줘야 하며, 악취와 관련된 민원이 있는 시설을 용인시가 매입하지 않으면 형평성 논란도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용인시는 “포곡읍 양돈가주변에서 5만명 정도가 산다. 대책을 강구중이라는 답변이 전부다 지역 주민들이 이 주장을 납득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런저런 문제가 대두되고 있으나 함께하는 주민들도 이해관계가 학연지연등을 떠나서 한목소리를 내야한다는 공감을 같고있지만 옛날에는 여러 단체에서 같이 도와줬는데 이번에는 아무 단체도 나서지 않고 있는 것 같다. 여러 단체들이 포곡읍내 악취문제 해결을 위해 함께 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 dohyup12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14) 악취원인 분석 및 해결방법은 없는가? 19.08.26 다음글 11) 악취와의 전쟁에서 여론전으로 위기를 면탈하려고 하지말라 19.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