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도심하천 수질 개선 발 벗고 나서 유덕상 2011-07-20 23:36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금학천 비점오염저감사업 추진, 친환경 생태도시로 거듭 난다 경안천-금학 수계 7개소 저류시설 2014년까지 설치 오염총량 삭감부하량 확충과 수질개선 ‘총력’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용인시(시장 김학규)가 하천 수질개선 및 오염총량 삭감 부하량 확충을 위해 금학천 비점오염저감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20일 밝혔다. 본 사업은 경안천-금학수계 비점오염 처리구역 총2.5㎢에 저류시설(1만3300㎥규모, 7개소)과 유입시설(이송관거 1.2㎞, 직경600~700㎜)을 설치해 하천 수질 개선과 수변 환경 개선을 추진하는 것으로 총 사업비는 174억3700만원이 소요된다. 비점오염원은 강우시 도로에 쌓인 오염원이나 농지·산지의 토사 등이 하천에 무차별 유입되는 것으로 가정하수나 공장폐수 등 점오염원에 비해 배출원이 일정하지 않아 제어가 어려워 특수한 시설을 설치해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것이다. 용인시는 지역 실정에 맞는 비점오염 저감시설 설치를 위해 지난 2007년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 타당성 용역 시행 후 종합운동장과 역북소공원 내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공사, 경안천 환경개선 및 고림동 생태습지 조성공사 등을 지속 추진해 수질오염총량제 대비 삭감부하량 확충 및 수질 개선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금학천 비점오염저감사업의 경우 2010년 계획을 수립하고 금년 3월과 7월 수 차례에 걸쳐 환경부를 방문하여 국비 지원을 건의했다. 향후 지속적으로 국·도비 지원을 요청하고 기금 및 지방비를 확보해 2014년 완료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본 사업은 용인시 금학천 유역의 초기 우수에 의한 비점오염원이 경안천 수질 오염의 원인으로 분석됨에 따라 강우 시 하천 유입 오염원을 줄이는 저감방안을 마련해 추진하는 것이다. 금학천 유역 7개 지구에 저류시설을 설치해 강우 시 비점오염원을 1차 저류 처리 후 맑은 날씨 심야시간대 용인하수처리장에 이송해 완벽히 처리 후 방류하게 된다. 시설 설치는 전통시장, 경전철 역사, 주차장, 병원, 공원 인근 등 비점오염원 발생지역에 집중된다. 용인시 경제환경국 견광수 국장은 “금학천은 시 중심지를 관통하는 하천으로 인근 도로·주차장 등에서 비점오염원이 다수 발생해왔다”며 “체계적인 사업추진에 만전을 기해 오염저감 및 악취 제거 등 수생태계 복원과 주민 생활환경 개선에 기여하고 용인시가 친환경 생태도시로 거듭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유덕상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호의적단체와 비토단체에 대한 보조금 정산방법 달라.조례.규칙적용 오류범해 11.07.21 다음글 용인시의회, 한국수자원공사의 팔당상수원 지역 물 값 분쟁 해결 촉구 결의안 채택 11.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