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천군 후손 이주국장군 원삼문중 고문서 발굴 공개
용인인터넷신문 2007-11-21 08:40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사단법인 누리전통문화보존회(회장 조혜영)는 2007년도 경기도 .향토사료 문집 발굴 『문산집』번역사업의 일환으로 사업을 진행하던중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를 발굴하였다.

 

20071121174320.jpg

I. 文 (문) 山 (산) 集 (집) 』11 卷 (권) 4 冊 (책) ( 元 (원) , 亨 (형) , 利 (리) , 貞 (정) )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20071121174351.jpg

II. 문산 이재의 친필 두루마리 (제목: 경자(1720) 3월 22일 신시 건:이주국 사주풀이) 크기 세로 23cm x 가로 580cm 재질 : 화선지, 제작년대 1792년 전후),

20071121174417.jpg
III. 충청수사 이상경 사급문서(1664년(현종 5) 3.12일, 왕명에 의해 충청수사(종2품)로 임명되면서 개인지급물품 하사 문서.

20071121174445.jpg
IV. 이상경 교지(1664년(현종 5) 1월, 전라우도수군절도사에 임명하는교지(옥쇄)

20071121174512.jpg

 

V. 이상경 교지(1674년(현종 15) 2월 14일 가선대부(종2품) 충청도병마절도사에 임명하는 교지

 

*참고: 이상경은 이주국장군의 고조부이며, 이후 무인집안으로 정착되었으며, 당시 노론으로 분류되는 중요인물이 되었음.

 

* 敎旨 (교지) : 文武官 (문무관) 을 任命 (임명) 할 때 4 品 (품) 이상은 국왕이 직접 임명하는 사령장이며,

 

옥쇄의 내용은 施 (시) 命 (명) 之 (지) 寶 (보) 로서 교지및 교서에 찍는 官印 (관인) .

 

 

VI. 과거시험답안지(1837년 유학 이종문 초시정시 답안지) 크기 : 가로 87cm x 세로 135cm 상문조자이목지소체(자기조상에 대해 보고 듣고 느낀점을 자세히 기술 * 賦 (부) : 詩 (시) 의 文體 (문체) 중 六義 (육의) 의 하나

 

VII. 이주국장군 준호구(1789년) 크기 : 가로 72cm x 세로 110 자헌대부(정2품)행충무위부사직 나이 70, 경자생 본관 전주 아버지,할아버지,증조할아버지,외할아버지,며느리, 손자,손자 며느리 나이본관 기술후 솔거노비 이름,나이,아버지,어머니등을 자세히 적어 죽산부에 제출(3부)한후 1부는 자신이 보관하는 것임.

 

이주국장군의 준호구에 기재된 솔거노비수가 무려 150여명에 이른다.

참고:당시 1760년 여지도서 죽산현(영조36) 원삼명 유동 인구현황에 따르면, 원삼면 유동 편호 140가구, 남자 240명,여자 271명 거주기록.

 

 

상기와 같은 자료에 대해 후손 이용선씨에 의하면 “ 장군의 홍패와 백패등은 200여년전에 불이나 없어지고, 용인 원삼면 고택에 보관되었던 서류뭉치를 지금까지 보관해 오다 공개하게 되었다”고 설명하면서, “금번 누리전통문화보존회에서 <<문산집>> 편역사업, 향토자료 1집

 

<<문산 이재의의 생애와 저술>>에 사진자료로 첨부해서 많은 사람들이 볼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는 의도로 공개하게 된것이다“고 했다.

 

 

한편, 이번에 공개되는 사료는 사단법인 누리전통문화보존회에서 문산 예학 <<문산 이재의의 생애와 저술>>이란 책의 앞머리에 게재했으며, <<문산집>> 수록 내용중 칠언절구 72수, 칠언율시 93수를 번역하여 실었으며, 안동대학교 인문학부 이종호 박사에 의한 해제를 실었다.

 

또한, 문산 이재의와 다산 정약용선생의 이름하여 <<이산창화집>> 원본사진과 편역시를 실었으며, 문산의 이재의의 평생 일기 즉 자찬연보 사진도 함께 실었다.

 

또한, 연세대학교 명예교수인 이석호 박사에 의하면 “금번에 발굴된 각종 사료는 전주이씨대동종약원에서 펴낸 자료에도 수록되지 않은 유일한 귀중본이며, 특히 이상경의 교지는 교지로서

 

가치도 충분하지만 이주국장군을 비롯한 무인집안의 효시를 이룬 인물이며, 효종을 호종하여 청나라 심양에 8년간 함께한 인물이다. 그 외 이주국장군의 호구단자는 당시 원삼면 유동의 시대상을 알수 있으며, 품계는 높으나 보직을 받지 않은 상태(행 충무위 부사직)의 예비로 편제된 당시의 행정관계를 알수 있는 귀중한 문서이다“라고 고증했다.

 

댓글목록

용인인터넷신문 | 우17027 (본사)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포곡로 159 삼성 쉬르빌 107동 204호
제보광고문의 010-5280-1199, 031-338-1457 | 팩스 : 031-338-1458 E-mail : dohyup1266@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06.6.15 | 등록번호 경기 아00057호 | 발행인:손남호 | 편집인:장인자 | 청소년보호책임자:손남호
Copyright© 2004~2025 용인인터넷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