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2회 한국박물관학 학술대회, (사)한국박물관학회,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공동주최
“뮤지엄, 지역공동체와 유산 해석 ”
장현주 2019-10-29 14:14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사)한국박물관학회(회장 최종호)와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관장 원종현 신부)은 2019년 11월 9일(토) 13시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명례방에서 제42회 한국박물관학 학술대회를 공동개최한다.

 

2019102923949.jpg
▲ 42회 박물관학학술대회 초대장- fine

 

‘뮤지엄, 지역공동체와 유산 해석’이라는 주제로 개최되는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박물관이 유산의 해석을 통해 유산이 함의하고 있는 다양한 가치를 발굴하고, 유산 활용으로 지역과 소통하는 국내외 기관들의 사례를 통해 박물관이 지역공동체로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Museum’, ‘Community’, ‘Heritage Interpretation’

국제박물관협의회(ICOM)에서 선정한 올해의 주제는 ‘문화 허브로서의 박물관: 전통의 미래’이다. 이는 ICOM에서 논의중인 박물관의 새로운 정의와 맥을 같이 한다. 2019 ICOM 총회에서는 새로운 박물관 정의를 논의

 

하며 ‘참여적participatory’, ‘다양한 공동체와 적극 협력work in active

 

partnership with and for diverse communities’, ‘미래 세대를 위한 다양

 

한 기억 보호safeguard diverse memories for future generations’, ‘동등

 

한 권리와 유산에 대한 동등한 접근 보장guarantee equal rights and

 

equal access to heritage for all people’ 등의 이슈를 거론하였다. 이는

 

과거 수집·보존으로 시작한 박물관의 역할이 사회가 바뀌고 문화가 변화하면서 점점 확장되고 있기 때문이다. 과거부터 현재, 그리고 미래를 담을 공간인 박물관이 문화 허브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박물관의 근간인 유·무형 유산을 해석하고 이를 공동체 내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이다.

 

(사)한국박물관학회에서는 박물관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Museum’, ‘Community’ ‘Heritage Interpretation’를 키워드로 선정하여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5월 박물관에서 문화유산을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하는지에 대한 학술대회에 이어 11월 학술대회에서는 박물관이 지역공동체로서 사람들과 함께하기 위해 유산을 어떻게 해석하고 활용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키워드를 잘 보여줄 수 있는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과 함께 개최되는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박물관이 유산의 해석을 통해 유산이 함의하고 있는 다양한 가치를 발굴하고, 유산 활용으로 지역과 소통하는 국내외 기관들의 사례를 발표한다.

 

기조발표자인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의 이융조 이사장과 우종윤 원장은 소로리볍씨박물관의 건립 추진에 대한 사례로 학술대회의 첫 문을 연다. 소로리볍씨박물관(청주)는 가와지볍씨박물관(고양), 조동리선사유적박물관(충주), 수양개선사유적전시관(단양)에 이은 구석기 유적 발굴을 토대로 지어지는 박물관이다. 이는 유적과 유적에서 발굴된 유산을 누구나 평등하게 접근하기 위한 좋은 사례이다.

 

제1발표인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건립과정과 의의는 조선 중기 이후 공식적 주요 국사범들의 처형 장소이자 천주교 박해로 많은 사람들의 피로 물들였던 곳을 공원과 박물관을 건립하여 역사적 가치를 되살리고 치유의 공간으로 새롭게 조성해 시민과 함께 공유하게 된 과정을 소개한다.

제2발표를 맡은 윤태석 前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장은 나주의 대표적

 

근대유산인 남평주조장나주시 향토문화유산 제27호에 남겨진 기록들을

통해 남평주조장이 갖는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발표한다. 이 자리에서 윤 前관장은 기록자료의 해석을 통해 알게 된 1932년 나주의 생활·경제·문화상을 많은 사람들과 함께 나누기위해 지자체 및 지역민과 어떻게 소통하고 있는지를 발표한다.

 

박정언 부산박물관 학예사는 영국 대영박물관 인턴 시절 참여했던 지역 공동체 프로그램 사례를 발표한다. 앞선 세 발표가 국내 사례였다면 제3발표에서는 대영박물관 사례를 통해 지역사회에서 박물관공동체 프로그램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소개한다.

 

이번 학술대회를 계기로 박물관 관계자 뿐만 아니라 박물관을 찾는 모든 이들이 박물관이 지역공동체로사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생각하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이날은 (사)한국박물관학회에서 시행한 제3회 전통문화유산과 박물관학 학술논문상 시상식도 진행된다. 이 공모전은 국내 전통문화유산과 박물관학 분야 대학원생들의 연구 의욕을 고취하기 위하여 2017년부터 매년 개최하고 있다.

 

□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조선 후기 국가 공식 처형지였던 서소문 밖 역사 유적지는 사회의 격변과 더불어 신앙과 사상, 세계관에 대한 개인의 내·외적 투쟁이 치열하게 전개된 역사의 장소이다.

 

박해 시기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신앙을 이유로 죽임을 당했기에, 최대의 순교성지로서 천주교 신자들에게 의미 있는 공간이며, 천주교 신자 외에도 조선의 통치이념과 제도에 반(反)하였다는 이유로 이곳에서 죽어간 사람들은 셀 수없이 많다. 죽음과 고통의 역사가 스며있던 이 곳은 한 때 청소차 차고지로 사용될 계획이 진행될 정도로 도심 속의 잊혀진 공간이었다.

 

그러나 서소문의 고유한 정체성과 역사적 가치를 간직하면서, 비극을 딛고 희망의 새 역사로 나아가기 위한 서소문 밖 유적지 자원화사업이 8년여간 추진되어 2019년 6월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이 탄생하였다. 일상의 쉼터인 지상의 서소문 역사공원과, 전시와 공연, 순례와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는 지하의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은 시민 모두를 휴식과 배움, 예술과 문화라는 하나의 여정에 참여하도록 이끄는 문화체험공간이다.

 

더불어 2018년 9월, 서소문 밖 역사 유적지가 포함된 ‘천주교 서울 순례길’이 아시아 최초로 교황청 승인 국제 순례지로 선포되면서「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은 전 세계 순례객들에게 영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화된 관광지로서도 주목받게 되었다. 「서소문성지 역사박물관」은 기억과 존중을 바탕으로 문화와 예술을 통해 시민사회에 화합과 공존, 상생을 가져오는 새로운 창조의 장으로 거듭나고자 한다.

공식블로그 : https://blog.naver.com/ssmshrine

 

□ 사단법인 한국박물관학회

1998년 국내 최초로 설립된 박물관학 학술단체인 (사)한국박물관학회는 창립한 이래로 박물관 관련의 학술연구와 조사를 통하여 박물관의 역할과 기능을 증대하고 박물관학의 발전과 회원 상호간의 정보 교류 및 협력을 도모할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박물관학회에서는 매년 정기적으로 학술 논문지 ‘박물관 학보’를 발행하고 정기적으로 학술대회를 개하는 등의 활동으로 박물관 전문인력과 박물관학 전공자들에게 학술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개정과 학예사 자격제도 시행, 전국박물관인대회, 2004 서울세계박물관대회, 한국박물관 100년 기념사업, 한국박물관 개관 100주년 기념사업 등에 참여하여 박물관 제도 개선과 박물관 학예활동의 진흥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앞으로 다양한 학술의 장을 마련해 연구자 간의 소통과 교류, 박물관학의 학문적 정립에 더욱 역점을 두는 학회가 되고자 노력하고 있다.

누리집 : http://www.museumstudies.kr

 

댓글목록

용인인터넷신문 | 우17027 (본사)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포곡로 159 삼성 쉬르빌 107동 204호
제보광고문의 010-5280-1199, 031-338-1457 | 팩스 : 031-338-1458 E-mail : dohyup1266@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06.6.15 | 등록번호 경기 아00057호 | 발행인:손남호 | 편집인:장인자 | 청소년보호책임자:손남호
Copyright© 2004~2025 용인인터넷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