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6. 4. 실시 전국동시지방선거 문답풀이(21) 권민정 2014-05-07 04:38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2014. 6. 4. 실시 전국동시지방선거 문답풀이(21) 1. 투표지분류기는 언제부터 사용하였나요? ‣ 투표지분류기는 2002년 제3회 지방선거에서 처음 사용하였으며, 그 이후 모든 공직선거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 일부에서 투표지분류기의 사용근거를 공직선거법 제278조로 주장하나, 2014 . 1. 17. 공직선거법 개정으로 투표지분류기의 근거가 제178조로 명확해졌습니다. 2. 투표지분류기를 도입한 배경은 무엇인가요? ‣ 선거마다 밤샘 등 장시간 개표와 개표사무원의 피로누적으로 인해 개표사무의 정확성과 신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투표지 분류를 기계장치로 보조토록 하였습니다. 3. 투표지분류기를 이용하면 전자개표로 볼 수 있지 않나요? ‣ 우리나라의 개표방식은 수작업 개표이며, 투표지분류기는 수작업 개표를 보조하기 위한 장비입니다. ‣ 투표지분류기는 심사․집계부 사무원이 투표지를 유․무효별로 심사하고 정당․후보자별 득표수와 무효표수를 집계하기 전에 정당․후보자별로 투표지를 단순 분류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4. 투표지분류기에서 오류율이 5%정도 나온다는데? ‣ 미분류 투표지 발생률을 오류율로 오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 정상적으로 기표한 투표지는 정당․후보자별로 분류되지만, 무효 투표지와 구분선에 기표한 경우, 기표문양이 희미한 경우 등 정상적으로 기표가 안 된 투표지는 별도로 분류되는 데 이를 미분류 투표지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 미분류 투표지는 심사․집계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하여 정당․후보자별 득표수와 무효투표수에 합산하게 되므로 오류와는 다른 개념이며, 무효표를 제외한 평균 미분류율은 3.8%정도입니다. 5. 투표지분류기에서 투표지를 분류한 결과를 인터넷으로 바로 공개하나요? ‣ 투표지분류기는 외부 어떠한 온라인망과 연결되지 않습니다. ‣ 심사․집계부와 위원 검열석을 거쳐 위원장이 최종 공표한 개표결과는 별도의 보고용 PC를 통해 입력하여, 중앙선관위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방송국에 전송됩니다. = 제공·문의: 용인시수지구선거관리위원회(264-1390) 권민정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이우현 시의회 의장, 용인시장출마기자회견 14.05.08 다음글 새정치민주연합 제식구 챙기기 전략공천,후폭풍 가시화 14.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