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일 용인특례시장, 세계 최고가 미술 작품들에 담긴 화풍과 화가 스토리 특강 통해 소개 - 4일 용인소방서 인문학 예술 융합 특강, '세계 최고가 그림' 주제로 강연 - - 레오나르도 다빈치, 앤디 워홀, 조르주 쇠라 등의 작품 보여주며 화풍 등 설명 - 장인자 2025-06-06 17:04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은 4일 오후 용인소방서 대회의실에서 소방공무원 50여 명을 대상으로 ‘세계 최고가 그림! - 작품과 화가들 스토리’라는 주제로 특강을 했다. 용인소방서가 소방관들의 직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인문학적 소양을 높이기 위한 차원에서 진행하는 '이음 프로젝트'의 한 프르그램으로 이상일 시장을 초청한 데 따른 것이다. 이 시장은 특강 모두에 생텍쥐페리의 『어린 왕자』내용을 소개하며 “어린 왕자가 여우와 친해지고 싶다고 할 때 여우는 한번에 가까이 다가오지 말고 차근차근 다가오라고 한다. 그래야 친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고 했는데, 용인소방서의 이음 프로젝트를들으면서 이 생각을 했다"며 "시민들이 서로 시간을두고 한발짝 두발짝 다가가서 연결이 되고 좀 더 끈끈한 관계를 맺으면 용인이 보다 나은 따뜻한 생활공동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세계에서 가장 비싼 1,2위 ‘살바토르 문디’와 ‘샷 세이지 블루 마릴린’ 이 시장은 “세계에서 가장 비싸게 거래된 미술작품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살바토르 문디(Salvator Mundi, 구세주)’로, 경매에서 4억 5천만 달러 이상의 값에, 현재 환율로 따지면 6천억 원이 넘는 가격에 팔렸다”며 “이 작품은 처음에는 10만 원 정도에 거래됐던 것이었지만, 다빈치의 작품으로 판정되면서 가격이 폭등했고, 현재는 사우디아라비아 빈살만 왕세자의 초호화 요트 안에 걸려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이 작품은 ‘남자 모나리자’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지만 2019년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이 다빈치 사후 500주년을 기념해 다빈치 작품전을 열었을 때 사우디아라비아는 모나리자 옆에 이를 걸고 싶다는 뜻을 전했지만 프랑스는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그것이 다빈치 작품일지는 몰라도 모나리자에는 필적할 수 없다는 프랑스의 판단 때문인 걸로 알려졌는데 작품의 값이 비싸다고 해서 예술성이 저절로 뛰어나다고 단정할 수 없는 사례로도 회자된다”고 설명했다. 이 시장은 “팝아트의 선구자 앤디 워홀의 작품 『샷 세이지 블루 마릴린(Shot Sage Blue Marilyn)』이 경매에서 약 2억 달러, 한화로 약 2,700억 원에 낙찰되며 세계에서 두 번째로 비싼 미술작품이 됐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 작품은 실크스크린 기법을 이용해 제작된 마릴린 먼로의 초상화로, 팝 아티스트 워홀은 영화 주인공인 먼로의 사진을 활용해 실크스크린 인쇄기술을 이용해 비슷한 작품을 많이 만들어 현대적 대중예술의 새로운 장르를 개척했다”고 말했다. ■ 신고전주의의 자크 루이 다비드와 신인상주의의 조르주 쇠라 이 시장은 1911년 도난 당해 2년 4개월 동안 실종됐다가 회수된 '모나리자' 스토리와 모나리자에 대한 각종 패러디를 설명하고 난 뒤 루브르의 모나리자 방을 지나고 나면 바로 나오는 루브르 박물관에서 두번째로 큰 작품 자크 루이 다비드의 '나폴레옹 황제 대관식'을 소개했다. 이 시장은 “자크 루이 다비드는 프랑스 신고전주의를 대표하는 화가로, 1804년 나폴레옹이 황제로 즉위하며 부인 조세핀에게 왕관을 씌우는 장면을 그렸다"며 "당시 나폴레옹은 교황이 씌워주려고 한 왕관을 나꿔채서 스스로 쓰면서 그의 막강한 파워를 대내외에 과시했지만 다비드는 이를 스케치로는 그려놓고 로마 교황청을 의식해서 그림에는 담지 않았다”는 일화를 소개했다. 이 시장은 “이 작품에는 대관식 당시 이탈리아에 있던 나폴레옹이 어머니와 고대 로마의 줄리어스 시저까지 대관식에 참석한 것으로 되어 있는 데, 이는 나폴레옹의 효성, 그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한 이미지 연출"이라며 "그림이 권력자를 위한 홍보 수단으로 많이 활용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프랑스 화가 조르주 쇠라는 점묘법의 창시자로, 신인상주의를 열었다. 그는 캔버스에 색을 혼합해서 칠하지 않고 단색의 작은 점들을 찍어 멀리서 볼 때 시각적으로 색이 섞이도록 한 창조적 기법을 선보였다”며 그의 1888년작 '모델들, 군상'이 2022년 미국 크리스티 경매에서 1억4920만 달러, 2000억원이 넘는 값에 팔렸다"고 소개했다. 이 시장은 "쇠라의 대표작 '그랑자트 섬의 일요일 오후'는 크기가 상당히 큰 대작으로 쇠라가 2년 동안 점을 찍어 만든 작품"이라며 "그림 테두리도 점을 찍어 마치 프레임처럼 만들었는데 현재 미국 시카고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 작품을 프랑스 정부가 사고 싶다고 했지만 뜻을 이루지 못했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뉴욕현대미술관 모마(MoMA)의 초대 관장은 미술관 작품들을 헌정하고 싶은 화가로 세잔, 고갱, 고흐, 쇠라 등 딱 네 사람을 꼽았다"고 덧붙였다. ■ 황금색으로 사랑을 그린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 이 시장은 “오스트리아 출신 화가 구스타프 클림트는 금박을 활용한 독창적인 화풍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대표작 '키스'는 사랑을 주제로 한 최고의 명화로 손꼽힌다”며 2023년 영국 런던에서 1억 840만 달러, 약 1400억원에 팔린 '부채를 든 여인' 등 그의 여러 작품들을 보여줬다. 이 시장은 “클림트의 아버지가 금세공사였던 만큼, 그의 작품에는 화려한 금빛 장식과 장인의 세밀함이 결합돼 강렬한 시각적 인상을 준다”고 했다. 이 시장은 “오스트리아 벨베데레 미술관에 있는 '키스'는 프랑스 루브르의 '모나리자'처럼 다른 나라로는 나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며 “이 작품은 2015년 CNN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사랑을 주제로 한 가장 위대한 명화’ 1위에 선정될 정도로 세계인의 감성을 사로잡는 작품”이라고 했다. 이 시장은 “클림트는 전통화품에서 벗어나 새로운 것을 창조하려고 했던 ‘반 분리파’를 주도한 인물로, 그가 베토벤의 교향곡 ‘합창’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벽화 ‘베토벤 프리즈’는 '빈 분리파' 건물 안에 있는데 예술성과 철학성을 겸비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고 덧붙였다. 이상일 시장은 “구스타프 클림트의 '아델레 블로흐바우어의 초상 1'은 금박으로 장식된 인물화로 ‘황금빛 모나리자’라 불리며, 2006년 뉴욕 경매에서 약 1,890억 원에 팔렸다”고 했다. 이 시장은 “클림트와 친분이 두터웠던 아델레 블로우바우어는 이 그림을 포함해 클림트 작품 다섯점을 가지고 있었는 데,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 독일이 그림들을 약탈했고, 전쟁 후엔 오스트리아 정부 소유가 됐다"며 "자식이 없던 아델레 블로흐바우어가 그림들을 조카에게 물려주고 싶다는 유언 내용이 전쟁 후에 알려져 조카가 오스트리아 정부와 소송 끝에 그림들을 돌려받았고, 이 과정은 영화 장인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용인특례시, 어린이·사회복지 급식소 조리원 대상 위생·영양교육 진행 25.06.22 다음글 용인특례시, 2025 어린이날 특별행사 ‘오, 오! 상상이상’ 개최 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