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자치 시대, 학교와 마을 간 연대가 답이다 학교교육과정은 마을과 연계된 교육거버넌스로 용인인터넷신문 2020-10-13 22:13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경기도교육연구원(원장 이수광)은 일화적 참여 관찰을 통하여 「학교-마을 연계 강화를 위한 단위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 구축 방안」 (연구책임 연구위원 박승열)을 발간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문헌고찰과 참여관찰, 그리고 부분적 면담을 하였다. 참여관찰 대상은 초등학교 1개교, 중학교 1개교, 혁신교육지구 1지역 등 총 세 곳을 선정하였다. 특히, 연구진이 개발한 연구관찰 관점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진은 기존의 학교와 마을 연계 관련 논의에서 벗어나, △단위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의미는 무엇인가, △단위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정책적 흐름은 무엇인가, △학교와 혁신교육지구의 교육과정 거버넌스 실태는 어떠한가, △학교와 마을의 연계 강화를 위한 단위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의 네 가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책임자 박승열 연구위원은 학교와 마을의 연계 강화를 위한 단위학교 교육과정 거버넌스 구축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닫힌 교육과정 거버넌스를 넘어 공동체적 거버넌스를 추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교원, 학생, 학부모, 시민단체, 지역기관 등 학교 공동체 구성원들이 참여하여 학교 교육 비전과 목표를 함께 설정하고 교육과정 운영은 물론 결과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학교-마을 연계 교육과정을 명문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을 관련 내용을 포함한 학교 교육과정을 구축하고 공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마을과 연계한 교육과정의 연속성 구축을 위해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용인인터넷신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2021학년도 경기도 유ㆍ초ㆍ특수학교교사 임용시험 경쟁률 평균 4 대 1 20.10.13 다음글 경기도교육청, 31일 미래사회 학생인권 온라인 특강 포럼 열어 20.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