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연합회, ‘6.13 지방선거 연계, 지역 소상공인 정책 현안’ 실태조사 결과 발표 현재 지자체의 소상공인 정책에 대한 소상공인 만족도 5.1%에 불과 장인자 2018-05-31 13:07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지역상황을 고려하지 않는 획일적인 정책 추진’등을 애로사항으로 꼽아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소상공인연합회(회장 최승재)는 일반 소상공인 사업주 총 514명을 대상으로 ‘6.13 지방선거 연계, 지역 소상공인 정책 현안’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이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4월 30일부터 5월 14일까지 2주간에 걸쳐 외식업, 도·소매업, 개인서비스업 등 다양한 업종에 종사하는 지역 소상공인연합회 대표 등이 참여, 응답자들의 오프라인 설문지 응답, 온라인 설문참여 등의 방법으로 조사됐다. 먼저, ‘현 광역지자체 및 기초지자체의 소상공인 정책에 대한 만족도’를 묻는 설문에는 응답자의 5.1%만이 ‘매우 만족 및 만족’이라고 응답해 현 민선 6기 지자체 소상공인 정책에 만족도가 높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 응답에서 응답자의 45%(228명)는 ‘불만족’, ‘매우 불만족’도 13%(66명)나 선택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합치면 58%의 소상공인들이 현재 ‘지자체의 소상공인 정책이 불만족스럽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6.13 지방선거를 통해 새로이 선출될 ‘신규 지자체 소상공인 정책지원에 대한 기대도’를 묻는 설문에는 응답자의 7.9%(40명)가 ‘매우 기대’, 32.3%(163명)이 ‘다소 기대’, 24%(121명)가 ‘보통’, 23.6%(119명)가 ‘다소 없음’, 12.1%(61명)이 ‘아주 없음’이라고 응답했다. ‘매우 기대’, ‘다소 기대’는 합치면 40.2%, ‘다소 없음’, ‘아주 없음’을 합치면 35.7%로, 한편으로는 지자체의 소상공인 정책에 체념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기대를 걸고 있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광역·기초 지자체에서 지역 소상공인들의 당면 애로사항’을 묻는 설문에 응답자의 24.5%(124명)가 ‘지역상황을 고려하지 않는 획일적인 정책 추진’이라고 응답하였으며, 19.5%(99명)는 ‘임대료 부담’이라고 답했다. 또한 16.2%(82명)는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이라고 응답했다. 소상공인들은 ‘지역 상황과 맞지않는 정책 추진’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꼽아, 신중하게 지역경제와 상황을 고려하여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뒤이어 임대료 문제와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문제도 소상공인들에게 큰 애로사항으로 지적됐다. ‘신규 광역·기초 지자체장이 집중적으로 추진해야 할 소상공인 정책’을 묻는 설문에는 17.1%(86명)가 ‘지자체별 소상공인 조례 완비’라고 응답하였고, ‘소상공인 자금 지원 및 경영컨설팅 지원’이 16.7%(84명), ‘상가임대차 보호 강화 및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는 13.7%(69명)로 조사됐다. 이는 현재 지역별 소상공인 지원체계가 미비하다는 의견이 반영된 것으로, 새로이 선출될 민선 7기에서는 조례의 완성도에 대한 기대감이 표출된 것으로 풀이된다. 뒤이어 ‘소상공인 자금 지원 및 경영컨설팅 지원’과 ‘상가임대차 보호 강화 및 젠트리피케이션 방지’는 영업권이 보장되는 가운데 안정적인 사업 환경 조성에 대한 소상공인들의 염원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중요한 소상공인 정책과제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복수응답)’ 라는 설문에는 응답자의 47.2%가 ‘지역·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이라고 응답하였고, 34.1%(171명)는 ‘생계형 적합업종 법제화 추진’, 31.7%(159명)는 ‘카드수수료 인하 소상공인 전용 카드 지원’이라고 각각 답했다. 장인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용인시 죽전도서관, 오는 22일 저자 초청 북타임 강좌 18.06.01 다음글 소상공인연합회 소속 업종별, 지역별 소상공인 대표 일동 명의 성명서 발표 18.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