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 상 위험한 소규모 취약시설이 2,059개소
이 중 70.4% 소규모 취약시설이 안전조치 없이 방치되어 있어
장춘란 2017-10-16 13:25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장애인·노인·아동복지시설 등 소외계층이 사용하는 소규모 취약시설물들에 대한 안전점검이 매년 국정감사에서 지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위험에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7101622240.jpg
▲ 이우현 의원 (용인 갑, 자유한국당)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자유한국당 이우현 의원(용인 갑, 자유한국당)이 한국시설안전공단으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시설안전공단이 소규모 취약시설에 대한 안전 점검을 한 곳은 총 1만 2,889개소로 이 중 약 16%인 총 2,059개소가 안전성이 미흡(1,603개소)·불량(456개소)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지역별 안전점검 결과 미흡·불량 결과를 살펴보면, 경기지역이 370개소로 가장 많았으며, 서울특별시 209개소, 경상남도 191개소, 충청남도 169개소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시설안전공단에서는 안전점검 결과, 해당 시설물의 상태에 따라 후속조치가 필요한 경우 현장점검 후 30일 이내에 관리주체 또는 관계 행정기관 장에게 보고서를 송부하고 있으나, 2014년 7월 이후 안전조치가 통보된 총 696소 중 조치를 완료한 개소는 29.6%인 206개소에 불과하여 이행실적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우현 의원은 “매년 국정감사를 통해 지속적으로 지적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소규모취약시설 사후관리가 미흡하다.”라며 “16년도 7월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시특법) 시행규칙이 변경되었으나, 강제조항이 없어 법적 실효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또한 이 의원은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중요한 문제로 국토교통부와 한국시설안전공단이 안전조치 이행률을 높일 수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별첨1. 2012년∼2016년 소규모 취약시설에 대한 안전점검 결과 >

(단위 : 개소)

구 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총계

양호

316

145

136

691

743

2,031 (15.8%)

보통

809

743

1014

3010

3223

8,799 (68.3%)

미흡

342

435

466

214

146

1,603 (12.4%)

불량

60

116

141

100

39

456 (3.5%)

1,527

1,439

1,757

4,015

4,151

12,889

 

<별첨 2. 최근 5년간 지자체별 미흡, 불량, 현황(2012.1.1.∼2016.12.31.) >

(단위 : 개소)

광역시도 

합계

미흡

불량

합계

2,059

1,603

456

서울특별시

209

176

33

부산광역시

133

99

34

대구광역시

58

51

7

인천광역시

139

101

38

광주광역시

36

30

6

대전광역시

68

62

6

울산광역시

27

22

5

세종특별자치시

13

11

2

경기도

370

276

94

강원도

155

111

44

충청북도

90

64

26

충청남도

169

135

34

전라북도

102

80

22

전라남도

114

95

19

경상북도

155

102

53

경상남도

191

158

33

제주특별자치도

30

30

0

 

댓글목록

용인인터넷신문 | 우17027 (본사)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포곡로 159 삼성 쉬르빌 107동 204호
제보광고문의 010-5280-1199, 031-338-1457 | 팩스 : 031-338-1458 E-mail : dohyup1266@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06.6.15 | 등록번호 경기 아00057호 | 발행인:손남호 | 편집인:장인자 | 청소년보호책임자:손남호
Copyright© 2004~2025 용인인터넷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