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춘숙 의원, 보건복지부·보건산업진흥원 현장실태조사 결과보고서 공개 국가연구개발비 82억원, 인보사 개발 ‘엉터리’ 연구에 낭비 장현주 2019-10-15 06:29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인 코오롱생명과학의 ‘인보사케이주’(이하 인보사) 개발을 위해 정부가 지난 2015년부터 2018년까지 3년 동안 총 82억1천만원을 투자했지만,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한국연구재단의 현장실태조사 결과 연구가 매우 부실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 정춘숙의원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춘숙의원이 한국보건산업진흥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보면, 82억원이 투자된 코오롱생명과학 수행과제(과제명 : 퇴행성관절염 치료제 “인보사”의 글로벌 상업화 및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는 1세부(1세부 1위탁) ~ 4세부 과제까지 총 5가지 세부과제로 나뉘어져 국가연구개발비가 지원됐다.<표1. 참조> 현장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대부분의 과제가 엉터리였던 것으로 파악(현장실태조사 결과보고서 별첨1.) 1세부1위탁 과제(2억) : 유전자 변형 연골세포의 특성 분석 - 연구계획 변경으로 2액(형질전환 세포)의 문제점 파악 기회 놓쳐 1세부1위탁 과제(정부 지원 2억)의 경우 초기계획서 상 “유전자 변형 연골세포의 특성 분석”이었으나, 코오롱생명과학이 인보사 2액(형질전환 세포)의 경우 이미 banking이 많이 되어 있어서 특성분석이 추가 필요 없다고 판단(논의)하여 정상세포(연골세포)의 특성분석으로 연구내용을 변경하여 결국 2액(형질전환 세포)의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놓쳤다. 특히 변경 전 연구계획서에는 “세포유전자 치료제로서 그 안전성 및 안정성과 유효성을 예측할 수 있도록 변형 연골세포와 공여자 연골세포간의 특성 분석을 통한 세포 검증으로 목표로 함”이라고 명시하고 있었는데,(연구계획서 별첨2.) 실제로 당초 계획대로 2액(형질전환 세포)의 세포분석을 했다면, 최종보고서 34쪽에 나와 있는 시험항목 및 시험방법을 통해 2액의 문제점(정상 연골세포와 다르다는 점)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최종보고서 별첨3.) 3세부 과제(8억5,600만원) : 연골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개발 - 세부과제보다는 용역과제 수행처럼 즉, 주체적인 연구가 이뤄지지 않음 3세부 과제의 최종목표는 연골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개발이지만, 배양된 세포의 특성분석이 명확하게 수행되지 않아 최종 선정한 최적 조건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받았다. 세포기능/특성/유효성 평가 등이 명확하게 수행되지 않았고, 특히 세부과제로서의 역할보다는 용역과제 수행처럼 이뤄졌고, 세부과제로서 주체적인 연구수행이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현장실태조사결과 확인됐다. 또한 연구노트 작성 기준에 부합하지 않고 매우 부실하게 작성됐고, 그 밖에도 3세부과제의 최종목표는 연골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개발이지만, 배양된 세포의 특성분석이 명확하게 수행되지 않아 최종 선정한 최적 조건을 판단하기 어렵다는 지적을 받았다. 4세부 과제(5억9,200만원) :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 인보사의 관절경 치료 술기 개발 - 연구노트 작성원칙 ×, 실험방법, 실험재료, 구체적 결과 등의 기술이 부실 4세부 과제는 당초 목적인 퇴행성 관절렴 치료제 인보사의 관절경 치료 기술 개발을 위해 적절하게 수행됐지만, 연구노트는 작성원칙에 맞지 않고 실험방법, 실험재료, 구체적 결과 등의 기술이 부실했고, 인보사 제품을 사용하였으나, 용액 II의 성상, 특징 등의 분석은 따로 실시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정춘숙의원은 “복지부와 보건산업진흥원이 지난 2016년7월 1차년도 중간평가를 실시했지만, 요식적인 평가에 그쳤다”면서 “국민의 소중한 세금이 사용되는 국가연구개발과제에 대한 평가체계의 내실화가 필요하다”고 강조. <표1.> 퇴행성관절염 치료제 “인보사”의 글로벌 상업화 및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 과제 구분 과제명 연구수행기관 총 연구기간 지원금액 정부 민간 총액 총괄 퇴행성관절염 치료제 ‘인보사’의 글로벌 상업화 및 후속파이프라인 개발 코오롱 생명과학 ’15.11.01. ~ ’18.07.31. 8,210 7,230 15,440 1세부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 인보사 및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 코오롱 생명과학 4,540 4,920 9,460 1세부 1위탁 유전자 변형 연골세포의 특성 분석 차의과학 대학교 200 200 400 2세부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 인보사 임상시료 생산 및 품목 승인 신청 티슈진 2,222 2,310 4,532 3세부 연골세포 대량배양 시스템 개발 고려대학교 856 - 856 4세부 퇴행성 관절염 치료제 인보사의 관절경 치료 술기 개발 가톨릭 대학교 592 - 592 코오롱생명과학 연구과제 현장 실태조사 결과 장현주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용인시의회 청소년 지방자치아카데미, 나곡초·상하초 참여 19.10.17 다음글 용인시의회 청소년 지방자치아카데미, 상하초·나곡초 참여 19.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