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철, 선개통이냐/ 민원해결이냐/ 고민스럽다 용인인터넷신문 2010-10-28 02:48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용인경전철! 이대로 골칫거리로 전락하고 말것인가? 용인시가 추진하고 있는 경전철사업에 있어 개통이 늦어지고 있는 가운데 사업자의 부도설까지 제기되는등 파행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시 관계자는 선개통, 후준공이라는 방안을 검토하면서 민원해결에 나선다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일부에서 우려하는 사항중 용인시의 개통지연조치는 자칫 사업자의 파산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위기 의식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이며. 사업자측에서는 지난 22일 운임수입을 보전해주는 최소운영수입보장률(MRG)을 애초 90%에서 79.9% 이하로 낮추고 터널형 방음벽(150억~170억원 추산)을 추가 설치하겠다는 계획서를 시에 제출한 것으로 밝혔다.. 그러나 용인시에서는 사업자의 계획서를 검토하면서 사업비의 부담과 운영수입보전률등 변경가능한 사항을 검토하고 경전철을 우선 개통하고 나중에 준공처리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시민에게 조속히 경전철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시스템 안전성이 확보되고 소음해소 대책이 제시되면 준공 확인 전이라도 우선 개통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27일 밝혔다. 이와 관련 사업시행자인 용인경전철㈜은 시가 운임수입을 보전해주는 최소운영수입보장률(MRG)을 애초 90%에서 79.9% 이하로 낮추고 터널형 방음벽(150억~170억원 추산)을 추가 설치하겠다는 계획서를 시에 제출하면서 통합환승 할인과 세부적인 기술적인 문제 등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용인경전철(주) 에서는 사업비를 조달하여야 하는 부담으로 주주들이 자금을 빌려주는 조건이 선개통이 이루어져야 자금이 풀릴것이라는 것이고 용인시로써는 현재 공정률 97%로 시민들이 소음관련 민원이 집단시위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는 점이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한편 사업자측에서는 “ 민간제안사업이지만 실제적으로 사회간접자본을 들여 사업을 하는 soc 사업에 대해서는 정부제안방식과 민간제안방식이라는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번 용인시의 경전철은 사업자의 제안방식이 아니고 정부제안방식의 사업이기 때문에 용인시가 제안한 사항을 사업자가 동의하여 사업을 진행시킨 사업이다. 라고 밝히고 있다. 용인인터넷신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용인시 공공디자인 기본방향과 세부지침 완료 10.10.28 다음글 용인시의회, 제153회 임시회 폐회 10.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