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등잔박물관, 풍속화를 통해 선조의 생활상과 민속공예품을 알리는 전시 중
손경민 2024-06-27 10:44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1.jpg



한국등잔박물관의 기획 상설 전시, <일상과 함께하다-풍속화에 담긴 전통 생활문화>가 개최된 이래, 1,200여 명의 관람객이 박물관 전시 및 연계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이번 전시는 ‘한국등잔박물관, 함께하다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첫 번째 전시로 풍속화에 담긴 옛사람들의 생활문화를 일거리, 먹거리, 놀거리로 분류하여 다각적으로 알아보고, 생활 민속품에 담긴 다양한 기능과 멋에 대해 조명하고자 기획되었다. 


한국등잔박물관의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들은 등기구를 비롯한 다양한 생활 민속품을 자유롭게 관람하고, QR코드를 활용하여 전시 유물과 연관된 풍속화를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선조들의 생활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


이번 전시는 일거리, 먹거리, 놀거리로 테마를 나누어 전시를 설명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테마인 일거리는 김홍도의 <논갈이>, 이서지의 <옹기가마> 등을 통해 풍속화 속 선조들의 노동과 문화를 이해하고, 두 번째 테마인 먹거리에서는 김홍도의 <주막>과 이서지의 <출산> 등을 통해 선조들의 음식문화와 생활 민속품들의 기능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 테마는 놀거리로 이서지의 <윷놀이>풍속화 등을 통해 전통 놀이의 종류와 놀이문화를 알아보았다. 또 야외 전시 공간에 마련된 전통 놀이 체험을 통해 선조들의 생활과 문화를 경험하는 기회도 가졌다.






2.jpg


전시 기간에 함께 진행되는 <전통과 함께하다 - 온고지신! 조선의 생활상과 직업 탐방>은 전시 내용과 연계하여 조선시대 생활상과 직업을 알아보는 연계 교육 프로그램이다. 참여자는 전시장을 탐험하면서 풍속화의 기원과 역사, 그리고 풍속화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조선시대 풍속화에 담긴 선조들의 생활상과 직업을 이해하였다. 그리고 조선시대 양반들이 즐겨 사용한 사군자에 담긴 상징성과 길상적 의미를 알아본 후, 사군자를 품은 등기구를 만들어 보는 시간도 가졌다.



3.jpg

 

교육에 참여한 능원초 3학년 학생은 “한국등잔박물관에서 등을 만드는 것이 제일 재미있었다. 특히 만들 때 색칠하고 조립하는 게 재밌었다. 다음엔 엄마, 아빠, 동생이랑도 와보고 싶다.”라고 말하였고, 또 다른 학생은 “오늘 등잔에 대해 배웠고 양반들이 그림에 담고 싶어 하는 사군자도 배웠다. 그리고 촛대의 나비 모양을 불후리라고 하는 것도 알게 되었다.”라며 새롭게 배운 것을 강조하였다.


전시 및 교육 운영을 맡은 지혜정 학예연구원은 “12월 13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를 통해, 가족과 함께 풍속화를 통한 선조들의 생생한 생활과 문화를 경험해 보기 바란다”고 말했다.


문의 : 한국등잔박물관 (031-334-0979),  www.deungjan.org


댓글목록

용인인터넷신문 | 우17027 (본사)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포곡로 159 삼성 쉬르빌 107동 204호
제보광고문의 010-5280-1199, 031-338-1457 | 팩스 : 031-338-1458 E-mail : dohyup1266@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06.6.15 | 등록번호 경기 아00057호 | 발행인:손남호 | 편집인:장인자 | 청소년보호책임자:손남호
Copyright© 2004~2025 용인인터넷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