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정화조 수거업체 총파업 단행 용인인터넷신문 2009-06-16 08:15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전국정화조연합회가 정부의 하수관거정비사업으로 정화조가 폐쇄돼 정화조 업체들이 폐업위기에 놓였다며 총파업을 결의하고 있는 가운데 용인시 11개 정화조 수거업체 전부가 지난 13일 생계 대책을 요구하며 총 파업에 돌입, 정화조 청소에 비상이 걸렸다. 용인시에서 분뇨처리업무를 대행해 왔던 11개 정화조업체들은 지난 13일 “용인시의 하수관거사업으로 11개 업체 모두가 분뇨처리를 대행하지 못해 생존권이 박탈당했다”면서”용인시가 대체사업 등 대책이 강구될 때까지 파업키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배준호(45·청수환경·전국정화조연합회 부위원장)부위원장은 “정화조수거사업이 국가사업 및 지자체 사업임에도 불구, 환경부가 하수관거 정비사업 실시 등으로 정화조(분뇨)수거업체들의 사업권이 축소돼 생업에 막대한 지장을 받고 있다”면서 “환경부와 지자체가 대체사업에 대한 책임을 전가 시키며 무관심으로 일관해 파업을 결의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는 또 “수십년간 보건위생과 수질환경 개선을 위해 아무나 하지 않는 일을 해온 많은 업체들이 대체사업으로 생계를 이어갈 수 있도록 정부와 지자체가 그 공익성을 인정해 대책을 강구해 달라”고 요구했다. 이어 그는 “일본의 경우 하수관거 사업을 실시하기 13년 전부터 공청회와 사업설명회를 통해 정화조수거업체들의 생계대책을 위한 대체사업과 전업 등을 요구해 무리 없이 사업을 진행한 반면 한국의 경우 아무런 사전 설명 없이 하수관거사업을 실시, 이번사태를 야기 시켰다”고 주장했다. 용인시 분뇨처리 업체들은 상실된 수입보전에 대한 뚜렷한 대책이 없을 경우 대책이 나올 때까지 집단 파업을 계속하겠다며 오는 18일 용인시공설운동장에서 기자회견 등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13일 파업에 돌입한 정화조(분뇨)수거업체는 ▲태성환경 ▲우리엔텍 ▲태홍실업 ▲용인환경 ▲대림환경 ▲소장환경 ▲삼성환경 ▲그린환경 ▲청수환경 ▲중소환경 ▲(주)삼환환경이다. (경기매일 장형연차장기사제공) 용인인터넷신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용인시 백옥쌀 소비촉진 운동 전개 09.06.16 다음글 2009 용인시장배 씨름왕선발대회 개최 09.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