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font color=red>2005 시정 계획</font>” 마련
2004-12-30 07:28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2004년 12월 30일 목요일] 용인시! 이제는 “성숙한 시민의 시대”를 향하여 시정초점을 ‘스마트성장에 ’균형과 통합, 도약과 개혁‘을 시정모토로연평균 10%이상의 높은 인구 증가율을 기록하며 수도권 남부의 중심도시로 우뚝서기 위해 안깐심을 쓰고 있는 용인시는 2005년을 ‘성숙한 시민의 시대’로 발돋움하여 ‘건강한 문화복지 도시’를 만들겠다며 당찬포부를 밝혀 화제가 되고 있다. 용인시에 따르면 그 동안의 시정이 개발에 따른 휴유증 해소로 위해 도로와 환경 등 도시 기반기설 투자에 거의 맹목적으로 집중하였다면 지난 2004년은 복지와 문화수준을 한 단계 높여 이제 대도시로 가는 길목을 열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와 성과가 있었다고 한다. 2005년도에는 이를 바탕으로 용인시 시정운영의 초점을 새로운 지속가능한 발전 전략인 스마트성장(Smart Growth)에 두고 이에 따라 균형과 도약, 통합과 혁신을 2005년 시정모토(구호)로 설정해 행정의 역량을 집중키로 하였다. 또한 시정 모토를 바탕으로 시민을 존중하고 건강한 문화.복지 도시로의 도약을 위해 사람중심의 복지행정, 균형 있는 도시환경, 특성화된 교육문화도시, 자생력 있는 지역산업 기반조성, 참여와 현장위주의 열린 행정 등 5대 시정 지표를 설정하였다. 그러면 용인시가 5대 시정지표를 추진할 7대 역점시책별로 어떠한 사업을 또 어떤한 방법으로 추진할지 해부해 보기로 하자. 우선, 아동에서 노인까지 시민복지수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사람중심 ,복지중심’의 정책을 추진한다고 한다. 미래를 이끌어 갈 주인공인 아동과 청소년 육성을 위해 시립어린이집 신축, 청소년 문화의 집 조성, 어린이 전용 도서관을 건립하여 영.아 가정의 보육문제와 청소년의 바른 가치관, 어린이를 위한 평생교육의 장으로 제공한다. 또한 여성발전기금 및 노인발전기금을 연차적으로 증액하여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와 참다운 노인복지정책에 힘쓰고 불우한 가정에 무료건강진단과 암 진단을 실시하고, 65세 이상 노인 중 고혈압, 당뇨환자에게 진료와 약값을 무료로 제공할 예정이다. 그리고 내년 6월 입주하는 문화복지 행정타운내 노인복지회관을 건립.운영하여 노인복지를 위한 다양한 공간제공 및 프로그램도 마련한다고 한다.

2004123015478_어린이_보육시설.jpg

20041230154540_노인복지분야1.jpg20041230154528_노인복지분야.jpg

------------------------------------------- < 사람중심의 복지정책 실현을 위해? > .어린이집 등 보육시설 지원(480개소, 93억원) .보육시설 이용 아동 보육료 지원(2,870명, 18억원) .보육시설 교사 지원(1,961명, 54억원) .경로당 시설개선 : 심야전기 보일러 교체(87개소) 및 운동기구 보급(200개소) .65세 이상 의료비 지원사업(5억원) .노인교통비 지원(40,869명, 58억원) .노인 경로연금 및 일자리 지원(2,003명, 11억원) ------------------------------------------- 둘째, 더블어 함께 살아가는 사회보장의 실현이다. 장애인에게 더 많은 복지혜택의 기회가 부여 될 수 있도록 서북부 장애인 종합복지관 건립과 용인장애인 종합복지관 지원을 통해 다양한 복지욕구를 해소하며 저소득 중증장애인을 위한 주거환경 개선사업도 병행 추진한다. 또한 65세 이상 국민기초수급자중 거동불편 노인과 중증 재가 장애인을 위한 유급도우미를 배치하여 양질의 복지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이다. 그리고 선진국 형 종합 복지시스템 구현을 위해 저소득층 기초생활보장, 저소득 자녀 기능교육비 과목 확대 및 지원금 현실화, 차 상위 계층의 의료급여 확대 지원, 미인가 사회복지시설의 양성화 추진을 통해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시설을 제도권 안으로 유입한다고 한다.

2004123015458_기초생활급여.jpg

-------------------------------------- < 선진국형 복지시스템 구현을 위해? > .장애인 재활보조기구 사업(30명, 15,000천원) .법정저소득층 및 만5세 책정아 보육료 전액 지원(470명, 4억원) .사회복지관 운영(3개소, 11억원) .기초생활 급여(생계?주거?교육, 85억원) .보육시설 전산화사업(480개소, 44,000천원) .소년소녀 가장 보호비 지원(13세대 25명 30,032천원) .저소득층 아동 건전 육성 지원(130명, 78,500천원) .장애아 전담 엘리베이터 설치비(30,000천원) -------------------------------------- 셋째, 도로교통망의 지속적 확충으로 ‘빠르고 편리한 선진 교통체계의 구축’으로 시민생활편익 도모이다. 용인시의 21세기 미래교통수단인 용인경량전철사업, 분당선(오리~수원) 전철노선연장사업, 신분당선(정자~수원) 전철노선 연장사업 등 전철건설사업을 최대한 앞당겨 완공하여 교통 분산 효과의 극대화한다고 한다. 또한 수도권 남부지역(수지,기흥,구성)의 광역교통망(8개노선)을 계획대로 개설하고 농어촌 도로 확?포장 사업, 도시계획도로 개설 확장사업을 지속 추진한다. 그리고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인근 도시 간을 연계한 버스노선을 재조정하고 2006년까지 버스와 택시를 연차적으로 증차한다. 또 첨단교통 체계시스템(ITS)을 구축하여 실시간 신호제어, 버스위치와 도착시간, 교통정보 등이 담긴 교통안내 전광판, 버스정보안내시스템(B.I.S)을 도입하고, 사고 다발지역에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등을 통하여 교통문화 정착에 노력한다고 한다.

20041230154613_도로건설.jpg

-------------------------------------- < 용인시에서 추진하는 도로건설사업은? > .지역간 광역도로 건설 : 8개 사업, 89.19km - 영덕~양재간 도로개설, 수지~신갈간 도로개설 .지역내 간선도로 건설 : 10개 사업, 27.9km - 동천~신봉간 도로 확.포장 , 전대~유운간 도로 확.포장 - 이동면 천리 확.포장, 동백~마성간 확.포장 .도시계획도로 건설 : 56개 사업, 28.6km - 남동사거리~신국도 확.포장, 구성읍 언남리~마북리 도로개설 .국도 42호 도로 확?포장공사(3.87㎞, 548억원) .여성회관내 주차빌딩 건립(지하2층, 지상3층) .구 용인경찰서 및 구 기흥읍 청사 부지를 활용한 주차공간 확보 -------------------------------------- 넷째,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환경시설 기반조성으로 ‘쾌적한 환경도시 건설’이다. 15개의 하수처리장을 2006년까지 환경친화적으로 설치하여 생명력이 살아 숨쉬는 생태하천으로 탈바꿈시켜 시민들의 휴식공간으로 활용하며 고림동 재활용센터에 쓰레기 재활용을 위한 국내 최초로 최첨단 선별시설을 2005년 까지 설치한다. 또한 백원지역(백암, 원삼, 양지)및 포곡 일원의 수요량 증가에 따른 상수도관 확장공사를 실시하고, 기존 노후 수도관을 교체하여 양질의 수돗물 공급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 그리고 시민이 즐겨 찾을 수 있는 푸른 산.푸른 공원을 조성하기 위해 동부지역에는 중앙, 역북1.2공원, 서북지역에는 수지체육, 마북, 상현공원을 만들어 푸르고 건강한 삶의 공간을 제공하는 한편, 모현면에 휴양림을 조성 기존관광지와 연계한 체류형 관광벨트화 하고, 소실봉 도시자연공원을 2006년까지 조성하여 시민의 휴양문화 공간으로 정착시키고자 한다.

20041230154557_녹지분야.jpg

-------------------------------------- < 푸르고 깨끗한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 >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2차 공사(100톤/일×2기, 773억원) .1회용품 사용규제 사업장에 대한 신고포상금제 시행 .축산.분뇨처리시설 개선공사(1,220㎥/일, 467억원) .경안천 오염하천 정화사업(L=8.9㎞, 600억원) .팔당호 주변 식당등 오수처리시설로 교체 사업 추진(72개소, 31억원) .아름다운 숲을 가꾸기 위해 전나무, 참나무, 잣나무 등 식재(12억원) -------------------------------------- 다섯째,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과 문화산업 집중 지원을 통해 수준 높은 교육.문화의 실현이다. 용인외고 지역할당제 문제로 용인시와 경기도 교육청과의 팽팽한 신경전을 벌였던 용인외고의 개설, 기흥, 구성, 포곡 등에 첨단과학 실습실과, 열람실을 갖춘 공공도서관의 착공하고 관내 초.중.고교 학생을 대상으로 눈높이 교육 등을 통한 우수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환경을 새롭게 단장할 예정이다. 또한 2006년까지 야외음악당을 건립하여 시민들에게 수준 높은 볼거리 문화를 제공하고 3.1 만세운동 기념탑 건립, 문화탐방, 문화유적지 순례 등을 조합?예술 도시로서의 위상을 높인다. 그리고 무료 청소년 체육시설 운영, 백옥쌀 씨름단 창단, 소공원 운동시설 설치, 동네체육시설 증설 및 시설보수 등을 통해 으뜸가는 체육도시로의 위상을 높인다고 한다.

20041230154722_예절관.jpg20041230154738_용인외고조감도.jpg

-------------------------------------- < 교육.문화.체육의 진흥을 위해? 〉 .각급 학교(초.중.고)에 대한 교육경비 지원(60억원) .예절교육관 운영(300회 20,000명) .중.고교 청소년 동아리 지원(40개 동아리, 20,000천원) .정몽주 선생 기념문화행사 추진(5,000명, 150,000천원) .용인시 종합테니스장 건립(실외 6면, 실내 3면, 18억원) .정구장 증설 사업(2면, 2억원) -------------------------------------- 여섯째, 경쟁력 있는 지역경제역량 구축과 농축산업 육성으로 재래시장 활성화와 농촌소득증대 도모이다. 재래시장 내 시설환경개선사업과 상인들의 서비스정신 함양을 통한 재래시장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소비자 정책심의위원회, 민간소비자보호상담실 운영 등으로 지역물가 안정을 꾀하며 유망 중소기업에 사업비와 기술개발자금을 지원하여 지역경제역량을 한층 더 강화시킬 예정이다. 또한 풍요로운 농촌을 만들기 위해 농촌체험장 조성, 친환경 쌀 생산사업 확대 추진, 고급축산물 브랜드인 용인백옥한우와 성산한방포크 육성, 구제역, 돼지콜레라 등 해외 악성전염병에 대한 방역으로 축산농가의 경제적 손실과 농촌 소득증대와 지역개발을 촉진을 도 모한다.

20041230154630_백옥쌀.jpg

-------------------------------------- <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지원으로? > .지역특산품 전시장 운영(2개소) .도시가스공급 지역 확대(보라택지개발지구외 54개 지역) .사랑의 보금자리 만들기 사업 추진(65개소, 250,000천원) .농업인 자녀 학자금 및 영유아 양육비 지원(749,600천원) .농산물 브랜드 육성을 위한 고품질화(4개면, 297,480천원) .우수 농축산물 전시.홍보 행사 개최(10,000천원) .“백옥쌀” 재배면적 확대(5,307ha) .유기질 비료 지원 사업(4,830농가, 600,000포/20kg) -------------------------------------- 일곱째, 열린행정과 행정서비스 개선을 통한 자치역량 강화로 ‘참여시정 열린시정’ 구현이다. 공직부조리 제거와 투명성 확보를 위해 시민감사관제 및 주민감사 청구제를 활성화 시키고, 시정 만족도 조사를 통해 시정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을 수렴 시민의 의사를 시책수립에 반영한다. 또 정보화 교육 전용버스로 찾아가는 정보화 교육을 통한 지역.계층별 정보화 격차를 해소하고 메일 및 휴대전화 문자서비스로 시정홍보, 민원처리 진행상황 실시간 제공한다. 지식정보기간의 IT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전국대회 규모의 용인사이버페스티벌 추진, 첨단 디지털 도시 구현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구축하여 경쟁력 있는 지식정보화 도시를 건설하겠다고 한다.

20041230154649_버스에서_정보화교육한다.jpg

-------------------------------------- < 앞서가는 자치시정 구현을 위해? > .주민자치센터 운영 : 지역실정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운영(총76개) .폭넓고 다양한 시정정보 제공 : 용인시 전자우편 및 SMS시스템 운영 활성화 .시민정보화 교육 : 교육의 질적 수준향상 및 소외계층에 대한 찾아가는 서비스 확대(연중, 1회 교육시 2주《1일 2시간, 월~금》) .정보사랑방 설치 : 1마을 1PC 보급사업(30개마을 75,000천원) .IT문화축제 도시 육성 : 전국규모의 사이버 페스티벌 개최(500,000천원) .디지털 용인 구현 : GIS인터넷/인트라넷 토털 서비스 제공(100억원) --------------------------------------

20041230154757_이정문용인시장.jpg

이정문 용인시장은 “용인은 정말 해야 할 일,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는 도시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금년도 재정여건이 작년대비 15%가량 줄어 어려움이 많을 것이나 교육과 환경, 자치경영을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미래 투자는 아끼지 않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밝혔다. 용인시는 개발중심에 있는 도시이다. 그래서 도로, 교통등의 민원이 끊이지 않으며 이를 해소하는 과정에서 인접시군과의 갈등도 많은 편이다. 그런데 중앙정부나 광역단체는 이런 문제를 기초자치단체인 용인시의 문제라고 치부해 버리며 고개를 돌리고 있는 경우가 많다. 어떤 때는 용인시 혼자만의 용틀림이 외롭고 안타까워 보일 때가 많다. 이제부터라도 용인시가 개발중심의 도시 형태를 벗어나 안정적 도시기반을 갖춘 대도시로 무난히 성장 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나 광역지방자치단체는 광역교통망의 조기개통, 구청조직 승인, 재정지원 등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댓글목록

용인인터넷신문 | 우17027 (본사)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포곡로 159 삼성 쉬르빌 107동 204호
제보광고문의 010-5280-1199, 031-338-1457 | 팩스 : 031-338-1458 E-mail : dohyup1266@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06.6.15 | 등록번호 경기 아00057호 | 발행인:손남호 | 편집인:장인자 | 청소년보호책임자:손남호
Copyright© 2004~2025 용인인터넷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