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전철사태 후유증, 공무원노조 설립절차 들어가 손남호 2013-05-08 00:52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용인시가 민선시장의 경전철사업등 무모한 사업진행으로 인하여 재정위기에 처한 가운데 공무원들이 가칭 용인시청공무원노동조합(이하 용인시청공노조)이 용인시가 생긴 이래 첫 출범하여 향후 용인시 사업진행과 인사비리등 각종 사안에 대해서 투명성을 제고 하겠다는 각오를 피력하기도 하였다. 지난 4월 30일 공무원 5명이 기흥구 신갈동에 위치한 한 카페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공무원노조를 설립하는 취지에 공감하고 위원장 및 임원을 선출함으로써 공식적인 활동에 들어가고 금명간 노조설립신고를 마칠 예정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노조설립을 주도한 이들은 노조창립선언문을 통해 “우리 용인시청공무원노동조합은 공익을 최우선적으로 하는 투명하고 모범적인 단체로서, 새로운 직장문화를 창출하고, 시민들에게는 참봉사자로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천명하고, 용인시청공무원노동조합의 출범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노조는 앞으로 공직 내부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4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는데 혼신의 힘을 쏟겠다며 ▲특정 공무원집단의 주요 보직 순환적 독점 ▲올바른 예산집행 막는 외부압력 ▲과중한 업무부담 주는 조직구조 ▲의견수렴 없는 일방적 의사 결정 등 4가지를 문제점으로 꼽아 파란이 예상된다. 초대 노조위원장으로 추대된 정원채 위원장은 “경전철 사업으로 발생한 재정난에 대해 고통분담이라는 미명하에 공무원들의 의견 수렴도 없이 공무원복지포인트, 수당 등을 맘대로 삭감했다”면서 “인사 불만 및 일방적 복지포인트 삭감 등에 대해 공무원들의 불만이 있는 만큼 앞으로 조합원의 복지후생과 권익향상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시는 인사 파트 등 주요 보직에 있던 말단(7~9급) 직원도 연어처럼 해당 보직으로 회귀하는 구조”라며 “430여명에 달하는 6급 팀장들의 실질적인 업무가 없어 말단 직원에게 업무 부담이 가중되고 있고, 주요 보직을 특정인들만 차지하는 불합리한 인사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지금 현재 조합원들이 소수인원이지만 지속적으로 구성원의 힘을 결집해 공익과 조합원의 권리를 찾는데 힘을 모아 나갈 것”이라며 “앞으로 시 내부 구조적 문제를 바로잡고, 사업부정·부패 추방 등 공직사회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서도 끊임없이 투쟁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손남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용인시, 경기도 예비사회적기업 7개 신규 및 재지정 13.05.08 다음글 지방채의 상환 재원 엉뚱하게 쓴 용인시에 안전행정부 ‘경고장’ 13.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