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반도체 장비 기업 세메스(주) 고매동에 R&D센터 건립
- 용인시, 24일 경기도·세메스와 투자유치 양해각서 체결 -
- 2024년까지 6천억 원 투입해 국내 최대 반도체 R&D 센터 조성 -
- 5,000개 일자리 창출 2조 원에 달하는 경제적 파급효과 예상 -
장 인자 2021-08-24 23:02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밴드 주소복사

본문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에서 점유율 7위를 차지하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의 반도체 장비 기업 세메스()가 용인시 기흥구 고매동에 R&D센터를 건립한다.

 

용인시는 24일 시장실에서 경기도, 세메스()와 함께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세메스() 용인 R&D 건립 투자유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9ec955fdfc18df7d0cab242356c447f8_1629813615_429.jpg

이 자리에는 백군기 용인시장, 이한규 경기도 행정2부지사, 강창진 세메스() 대표이사가 참석했다.

 

협약에 따라 세메스()는 오는 2024년까지 6,000억 원을 투입해 용인시 기흥구 고매동 764번지 10에 반도체 핵심 장비 연구개발 및 기술 육성을 위한 R&D센터를 조성한다.

 

시와 경기도는 내년 상반기 중 착공할 수 있도록 산업단지 조성계획 등의

·

허가를 신속 지원하고 기업과 함께 고용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기로 했다.

 

 

R&D센터는 건축물 연 면적 165,000규모로 국내 최대 반도체 장비 연구개발 시설이 될 전망이다.

 

세메스()는 이곳에 차세대 반도체 양산설비 평가와 반도체 부품 관련 기술 개발 등을 진행할 수 있는 연구개발 목적의 팹(Fab)을 구축한다.

 

9ec955fdfc18df7d0cab242356c447f8_1629813678_2968.jpg

시는 R&D센터 건립으로 일자리 5,000개 창출은 물론 2조 원에 달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처인구 원삼면에 조성 중인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삼성전자 기흥 캠퍼스 등과 연계해 차세대 설비 개발로 반도체 장비 국산화 촉진과 기술경쟁력을 높이는 데도 큰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창진 세메스() 대표는 고매동 R&D센터 건립으로 세계 최고의 반도체 기업이 2곳이나 위치한 지리적인 이점을 활용하고 적극적인 역량 강화를 통해 글로벌 TOP 5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한규 경기도 행정2부지사세메스()의 용인 R&D센터 설립이 반도체 산업 생태계를 유지·강화하는 데 큰 힘이 될 것이라며 기업이 불필요한 규제에 발목 잡히지 않도록 세심하게 살피고 기업과 경제가 지속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 지원 하겠다라고 말했다.

 

백군기 용인시장은 국내 최대 규모의 반도체 장비 기업인 세메스()가 시에 둥지를 틀 게 돼 시가 명실상부 K-반도체 벨트의 핵심 도시로 확고한 입지를 굳혔다“R&D센터가 차질 없이 건립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세메스는 19931월 설립해 반도체 전() 공정 설비인 클린(Clean), 에칭(Etch), 스피너(Spinner) 등과 테스트/패키징, 물류 자동화, 디스플레이 설비를 생산하는 국내 최대의 반도체 설비기업이다.

   

지난 2015년 장비업체 최초로 연 매출 1조 원을 달성하고 지난해엔 최대 매출인 22,000억 원을 기록하며 세계 7위 장비 기업으로 도약했다.

 

댓글목록

용인인터넷신문 | 우17027 (본사)경기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포곡로 159 삼성 쉬르빌 107동 204호
제보광고문의 010-5280-1199, 031-338-1457 | 팩스 : 031-338-1458 E-mail : dohyup1266@hanmail.net
인터넷신문 등록일 2006.6.15 | 등록번호 경기 아00057호 | 발행인:손남호 | 편집인:장인자 | 청소년보호책임자:손남호
Copyright© 2004~2025 용인인터넷신문 All right reserved | Designed by BLESS 031)954-8601

기사제보
----------
취재요청
----------
광고
제휴문의
----------
청소년
보호상담자
지정 및 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