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건물지․방호벽 등 2차 발굴조사 완료 석성산 봉수터 연조 가치 확인 장인자 2018-11-22 15:22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 석성산 내 석곽묘 형태와 벽석 일부도 확인 -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용인시는 처인구 포곡읍 마성리 산77-33 일대 ‘석성산 봉수터’에 2차 발굴조사를 실시해 봉수터 내 연조의 규모 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석성산 봉수터는 (재)한양문화재연구원이 지난 4월 실시한 1차 조사 결과 조선시대 중요 봉수대로 제례지로 이용됐을 가능성 등의 문화재적 가치가 확인된 바 있다. 밤에 봉화를 올리거나 낮에 연기를 피워 신호를 보내는 아궁이‧굴뚝시설인 연조 5기, 봉수대 방어를 하는 방호벽, 건물지 등으로 구성됐다. ▲ 석성산 봉수터 발굴조사 중 전경 이번 2차 발굴조사에선 수목 교란으로 내부조사를 하지 못했던 연조 2기를 비롯해 주변 건물지와 방호벽에 대해 추가 조사를 한 것이다. 그 결과 연조 2기는 평면 원형으로 할석을 쌓아 조성됐고 내부에서 목탄이 확인됐다. 건물지는 길이 300cm, 너비 200cm 규모 2칸 건물이 자리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주변서 다량의 목탄이 확인됐다. 또 내부 온돌시설이 없는 것으로 보아 봉수군의 거주시설이 아니라 연료창고 건물로 추정됐다. ▲ 석성산 봉수터 발굴조사 연조2 조사후 방호벽은 자연 암반 사이에 할석을 채우는 방식으로 자연지형을 최대한 활용해 축조됐음이 확인됐다. 시 관계자는 “석성산 봉수터는 성남 천림산 봉수, 고양 독산 봉수에 이어 경기도 내에서 연조 5기가 모두 확인된 세 번째 봉수터”라며 “경기도 문화재 지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석성산 중동석곽묘 긴급발굴조사 중 전경 한편 시는 지난 10월 동백도서관 뒤에서 석성산으로 오르는 등산로 상 석곽묘에 대해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긴급발굴조사를 한 결과 길이 약234cm, 너비 약160cm의 직사각형(세방장형) 형태, 벽석과 바닥석 일부 등을 확인했다. 이에 석곽묘의 현장을 보존하고 주변에 안내판을 설치해 등산객이나 탐방객에게 역사교육자료로 활용되도록 할 방침이다. 장인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용인시, 사업농가 등서 40여명 참여해 올해 성과 공유 18.11.22 다음글 용인시, 우수 마을공동체 육성 위한 공유마당 개최 18.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