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가 못다니는 자전거도로 2005-02-15 04:17 가 본문내용 확대/축소 본문 심각한 교통난과 대기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 치단체가 추진해온 자전거도로가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이용환경 을 고려하지않은 채 주먹구구식으로 설치되거나 제대로 관리되지 않아 무용지물로 전락하고 있다. 14일 오후 3시 경기도 용인시 국도 45호선 남동사거리~신국도(1.2㎞) 확·포장공사 구간. 용인시가 39억원을 들여 오는 5월 완공 을 목표로 폭 35m의 도로와 인도, 자전거도로 공사를 벌이고 있 다. 그러나 도로공사 구간을 따라 인도와 나란히 설치되고 있는 폭 1 m 내외의 자전거도로에는 각종 전신주와 신호등, 도로안내판, 전 선케이블 등이 빼곡히 들어서 자전거는커녕 사람이 다니기도 힘 든 상태였다. 주민 오모(34·용인시 김량장동)씨는 “이곳은 경사가 심한 언덕 이 시작되는 곳이고 주거지역도 아니어서 자전거가 다닐만한 곳 이 아니다”며 “그나마도 각종 구조물들이 길을 막고 있는 곳에 자전거도로를 왜 만드는지 모르겠다”며 고개를 가로저었다. 도로 확·포장 공사가 진행중인 인근 용인시 이동면 천리 시내 구간(0.9㎞)과 2년전 공사가 끝난 용인터미널~남동사거리(0.8㎞) 구간도 사정은 마찬가지. 이들 구간의 자전거도로에도 한가운데 가로등과 전신주, 심지어는 자전거도로임을 알리는 표지판까지 빼곡히 들어서 있다. 용인시 관계자는 “좁은 공간에서 인도와 자전거도로를 동시에 설치하다 보니 이같은 현상이 빚어졌다”며 “자전거도로 기능을 저해하는 각종 지장물 위치를 조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수원시와 한국토지공사가 지난 2000년 조성한 장안구 정자동 정 자지구내 자전거도로는 설치후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관상 용’으로 전락한 사례. 지구내 모든 도로변에 7∼9m의 인도를 확 보하고 인도 한가운데 2~3m의 자전거도로가 설치됐지만 이중 상 당부분은 상가 주차장이나 간판설치 장소 등으로 쓰이고 있다. 이에 따라 자전거를 이용하는 주민들은 자전거도로를 점령한 차 량과 간판, 각종 적치물 등을 피해 보행자들과 함께 인도를 이용 하거나 차도에서 곡예 운전을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수원시 관계자는 “수원시내에는 190㎞의 자전거도로가 설치돼 있는데 대부분 인도와 겸용으로 사용하다 보니 많은 문제가 있다 ”며 “자전거도로를 인도가 아닌 별도 공간에 건설하지 않는 한 이같은 문제는 해결되기 힘들다”고 밝혔다. 자전거도로의 무용지물화는 무조건 확장부터 하고보자는 정부와 지자체의 주먹구구식 정책에서 비롯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정부는 오는 2010년까지 자전거의 교통수단분담률을 10%까지 늘 린다는 계획 아래 지난 90년대 후반부터 일선 지자체에 자전거도 로 설치를 권장해 왔다. 하지만 별도의 부지 확보가 어려운 지자 체들로서는 인도의 일정 공간을 자전거 도로로 할애할 수밖에 없 는 실정이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전국 대부분의 자전거도로가 ‘자전거전용’ 이 아닌 ‘인도겸용’으로 설치됐다. 각종 구조물이 도로 한가운 데 자리잡거나 주변 상가의 불법점용공간으로 전락하기 일쑤다. 경기도의 경우 현재 지역내 총 1603㎞의 자전거도로를 확보하고 있지만 하천둔치 등 극히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인도겸용 으로 설치돼 자전거 이용률은 3.4%에 그치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자전거도로 활성화 를 위해 ‘그린웨이 용역’을 시행하고 있다”며 “이를 토대로 도내 전역의 자전거도로 확대 및 활성화 계획을 수립할 방침”이 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통문화운동본부 박용훈 대표는 “자전거이용 활성화 를 위해서는 수요가 있는 곳에 적합한 자전거도로를 건설하는 것 이 우선돼야 한다”며 “행정편의·설계편의 위주로 조성된 자전 거도로는 주민들로부터 외면을 받는 예산낭비용 공사일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목록 댓글목록 이전글 죽전 `보정역 유지說` 기대감 05.02.15 다음글 <font color=green>배구시범대회, KT&G 우승 05.02.01